스마트스토어를 준비하면서 제일 먼저 부딪힌건 얼마를 남기면 되는 건지 조차 헷갈린다는 것이었다.
배송비, 수수료, 마케팅 비용까지 고려하면 단순히 [구매가-판매가]만으로는 계산이 되질 않았다. 그래서 내 기준에서 사입/마진 계산기를 구글 시트로 직접 만들어보기로 했고, 그 과정에서 챗GPT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
오늘은 그 경험을 바탕으로 어떻게 마진 계산기를 만들었고, 챗GPT를 어떤 식으로 활용했는지 정리해보려고 한다.
1. 마진 계산기를 만들게 된 계기
스마트스토어를 준비하면서 도매가로 상품을 사입하고, 플랫폼 수수료와 광고비를 감안해 최소 얼마 이상은 남아야겠다는 기준이 필요했다.
하지만 처음에는 헷갈리는게 너무 많아서, 유튜브나 구글을 엄청 찾아본 것 같다.
- ROAS가 뭔지, 몇 퍼센트 이상이면 괜찮은 건지?
- 마진율 계산은 왜 이렇게 복잡한 건지
- 쿠팡/네이버의 수수료 계산 방식이 다른데 수식은 어떻게 나눠야 하는지
그래서 구글 시트로 간단하게 판매가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마진율과 수익률을 계산해주는 시트를 만들기로 했다.
물론 다른 셀러분들이 무료로 공유해주신 엑셀 파일도 참고해가며 나만의 시트를 만들었다.
2. 문제 발생 : 구글 시트 수식 오류
아래 예시는 ROAS 수식을 만들 때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다만 어떤 방식으로 문제를 풀어가는지의 맥락을 중심으로 보면 좋을듯!
예를 들어, 다른 계산기를 참고해 이런 수식을 입력했는데 자꾸만 '함수 DIVDE 매개변수 2은(는) 0일 수 없습니다'라는 오류가 떴다.
=IF(H3="쿠팡", (11000/M3)/10000, IF(H3="네이버", (10000/M3)/10000,0))
상기 수식은 ROAS(최소광고수익율)을 계산하는 공식이었고, 직관적으로는 맞는 것 같은데 M3(마진율)이 비어있거나 0일 때 생기는 오류였다. 이런 경우엔 IFERROR 또는 값 존재 여부를 먼저 확인해야 한다는 걸 챗GPT가 알려줬다.
오류 하나 해결했을 뿐인데, 이런 식으로 조건문과 예외처리를 같이 넣을 수 있구나하고 감이 잡히기 시작했다.
3. 챗GPT로 '왜 이렇게 계산하는지'도 함께 이해하기
단순히 챗GPT가 고쳐준 수식을 적용하는데만 그치지 말고, 왜 이렇게 계산하는건지, 쿠팡 수수료가 11%인데 11000으로 나누는 이유는 뭔지 등에 대한 질문도 했고 GPT는 상세히 설명해주었다.
위 질문을 이해한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 쿠팡 수수료가 11% > ROAS 기준은 11,000원
- 네이버는 수수료 10% > 기준은 10,000원
- 마진율이 낮으면 광고 효율이 아무리 높아도 남는 게 없음
- 그래서 마진율에 따라 목표 ROAS를 자동으로 계산해주는 수식이 필요
이걸 그대로 시트에 반영해 채널에 따라 수수료 기준이 달라지고, 마진율에 따라 목표 ROAS도 자동으로 달라지는 계산기를 만들었다.
이외에도 마진율이나 순수익등 셀러에게 필요한 계산기를 만드는데도 챗GPT의 도움을 받아가며 완성을 했다.
4. 완성한 계산기
구글 시트에서 다음과 같은 요소를 계산하도록 완성했다.
항목 | 설명 |
사입가 | 도매가 + 배송비 |
예상 판매가 | 내가 등록할 예정인 가격 |
수수료 | 채널별 자동 계산 |
광고비 | ROAS 목표에 따라 계산 |
순이익 | 판매가-사입가-수수료-광고비 |
마진율 | 순이익/판매가 x 100 |
GPT는 수식뿐만 아니라, 이 항목은 직접 입력하는 게 좋고 이건 수식으로 연결해도 된다는 조언도 함께 해줘서 도움이 많이 됐다.
결론적으론 이렇게 내가 필요한 항목들만 뽑아서 계산기를 완성했다. 아래는 사입 시 구매 단가 계산기 일부로, 상품 가격만 리스트업하고 마진 계산기는 별도로 만들어두었다. 이렇게 하는게 맞나~ 싶지만, 일단은 편한대로 해보고 추후에 수정해보는 걸로!
5. 마무리
셀러 입장에서는 얼마를 팔아야 얼마가 남는지를 먼저 아는 게 중요한 것 같다.
초기에 이걸 모르고 운영하다 보면 손해를 보면서도 그걸 모르는 상태가 될 수 있으니, 처음 사입을 진행할 때부터 꼼꼼하게 챙기면 좋을 것 같다.
복잡한 계산기를 쓰는 게 부담된다면, GPT를 이용하여 하나하나 수식부터 시작해보는 걸 추천한다.
나도 수식이 어렵다고 느꼈지만, GPT에게 왜 안되는지, 이 계산이 맞는지를 묻다 보니 어느새 기본적인 계산기는 그래도 혼자서도 만들 수 있게 됐다.
혹시 글 내용에서 사용한 수식이나 정보에 잘못된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공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AI&툴 활용기 > AI 활용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챗GPT로 상품 상세페이지 기획안과 후킹문구 만드는 법 스마트스토어 상세페이지 만들기 (3) | 2025.05.20 |
---|---|
퍼플렉시티 vs oo.ai 사용 후기, 1인 사업자가 검색에 활용하기 좋은 AI는? (4) | 2025.05.16 |
1688 처음 쓰는 초보셀러를 위한 챗GPT 활용 가이드 (2) | 2025.04.30 |
챗GPT로 만든 아이콘, 미드저니 리텍스쳐 기능으로 감도 높이기 (1) | 2025.04.27 |
챗GPT로 3D 아이콘 만드는 방법 : AI로 아이콘 직접 생성하기 (1) | 2025.04.23 |